Sub Promotion
조회 수 추천 수 댓글 0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우리 몸의 구역별 명칭이 혼동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영어명칭과 우리말의 명칭이 혼용되어 쓰고 있는 현대의 우리나라에서 더 더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hip 이라는 단어를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히프, 둔부, 엉덩이 라고 나와 있습니다. 더욱이 백과사전에는, 아래와 같이 나와 있습니다.

 

즉 엉덩이 아래로서, 앉으면 바닥에 닿는 근육이 많은 부분이다. 해부학적으로는 둔부(臀部)라고 한다. 볼기의 위쪽 경계는 장골릉이고, 아래쪽 경계는 불룩한 부분의 하연을 가로지르는 둔구(臀溝)이다. 좌우 볼기 사이는 깊은 홈이 되어 항문에 이른다. 사람의 볼기의 불룩한 살은 둔근군(臀筋群) 중 특히 대둔근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를 고정시키고 이 대둔근을 긴장시키면 골반이 수직으로 유지되므로 직립자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둔근 하층에는 중둔근·소둔근이 겹쳐 있다. 볼기의 피하지방은 몸의 다른 부분보다 특히 많으며, 또 남성보다 여성쪽이 많다. 둔부의 피부도 여성쪽이 남성보다 두꺼워 평균해서 남자는 2cm, 여자는 3.5cm이다. 흔히 말하는 엉덩이는 볼기 부분과 이어진 위쪽을 가리키는 말이다.

 

1005383319.jpg

 

 

반면에 위키백과 에서 Buttock 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는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The buttocks are formed by the masses of the gluteal muscles or 'glutes' (the gluteus maximus and the gluteus medius) superimposed by a layer of fat. The superior aspect of the buttock ends at the iliac crest, and the lower aspect is outlined by the horizontal gluteal crease. The gluteus maximus has two insertion points: 1/3 superior portion of the linea aspera of the femur, and the superior portion of the iliotibial tractus. The masses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are separated by an intermediate gluteal cleft or "crack" in which the anus is situated. The buttocks allow primates to sit upright without needing to rest their weight on their feet as four-legged animals do.

 

 

즉, 백과사전은 위키백과와는 달리 힙(hip)을 엉덩이(buttock)로 소개하고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분들이 힙과 엉덩이를 혼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정확한 힙의 위치는, 대퇴골 상부의 돌기 (the greater trochanter of Femur) 위쪽의 피하조직 및 근육을 일컬은 말입니다.

 

 

1216445287.jpg

 

 

위의 그림처럼 움직여 보면, 튀어 나온 뼈가 만져지고, 움직이는 것이 느껴지면, 그것이 대퇴골 상부돌기입니다. 골반의 옆라인중 약간 들어간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 보다 조금 위쪽에 있습니다. 따라서, 장골 골반뼈 상연(iliac crest) 하방에서 튀어 나온 근육과 지방부분을 힙이라 부르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1340187449.jpg

 

위 그림에서 H 라고 표시된 부분이 hip 이며, B 는 buttock즉 엉덩이, T는 thigh 즉 허벅지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 흔히 혼용하여 쓰시고 있는 말로 flank(옆구리) 라는 말이 있는데, Flank 는 갈비뼈와 힙 사이의 부분을 일컬은 말입니다. 구어체나 속어적 표현으로 간혹 러브핸들(love handle) 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waist(허리) 라는 말도 있는데, 이 부위는 배꼽과 갈비뼈 사이의 부분으로 몸통 중 가장 좁은 부위를 말합니다. 혹자는 여성의 몸매를 이야기 할 때, 허리/힙 비율 (Waist/ Hip ratio)이 0.7일 때 가장 아름다운 몸매라고도 합니다.

 

 

1283938435.jpg

 

 

 

남성과 여성의 몸매에는 차이가 있는데, 허리(waist)의 위치를 밸트라인(belt line)으로 생각했을 때 , 투메슨트 지방흡입의 창시자 클레인 박사는 belt line을 기준으로, 아랫부분을 hip, 가운데 부분을 waist, 윗부분을 flank 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따라서, 남자는 벨트라인이 골반뼈 바로 상위 부분이며, 여자는 갈비뼈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여자에서는 힙(hip)과 허리(waist) 부분이 몸통측면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남자는 힙과 허리는 거의 없고, 밸트라인 윗쪽부위인 flank(옆구리)가 몸통측면을 대부분 차지 한다고 봐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 드린다면, 몸통의 옆 측면을 부를 때, 여자에게는 힙(hip)과 허리(waist) 라 부르고, 남자에게는 옆구리(flank)라 부르는 것이 타당 할 것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여자의 몸매에서는 남성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특이한 부위가 있는데, 이는 힙의 아래쪽에 있는 외측 허벅지 돌출부위 입니다. 일명 Saddle bag( 안장주머니 )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또한 힙의 돌출과 외측허벅지의 돌출을 합쳐 바이얼린처럼 생겼다고 해서, 바이얼린 형태(Violin deformity) 라 부르기도 합니다.

 

 

1018083444.jpg

 

윗 그림은 이 바이얼린 형태의 체형과 그 옆의 모래시계처럼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여성의 실루엣 모양을 보여 줍니다.

 

 

흔히 승마바지살(saddle bag) 부위의 부분지방흡입을 원하시는 여성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승마바지살의 돌출은 엉덩이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 돌출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 예로 서있는 상태에서 엉덩이 근육을 수축시키면 엉덩이가 위로 올라가고 승마바지살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우 승마바지살은 엉덩이의 크기와 무게에 의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승마바지살의 지방흡입시에는 엉덩이, 특히 엉덩이 외측의 지방을 줄여주는 수술을 동시에 하는 경우가 효과가 더 좋습니다. 따라서, 골반부위의 힙, 엉덩이, 외측허벅지를 하나의 미용단위(cosmetic unit)로 불리기도 하며, 만일 지방흡입을 하신다면, 아래의 사진처럼, 이 세가지 부위를 한꺼번에 수술하기를 권합니다.

 

 

695.jpg

 

 

[ 비너스의원 원장 정원호]

 

 

참고자료

 

애플라인 지방흡입허벅지와 엉덩이 프리미엄 지방흡입엉덩이 볼륨업

 


조회 수 추천 수 댓글 0

참으로 안타가운 일입니다. 지방흡입을 시술하고 있는 의사로서, 지방흡입이 다른 수술들과 비교해서 비교적 안전한 시술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고가 발생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지방흡입 시술하다 환자 죽인 의사 실형

 

성형외과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 지방흡입술을 시술하다 환자를 죽인 마취과 의사에게 실형이 선고됐다. 서울서부지법 형사2단독 석현수 판사는 11일 복부 지방흡입술을 시술하다 환자를 숨지게 한 혐의(업무상 과실치사)로 구속기소된 성형외과 담당의사 이모(37)씨에게 징역 6월의 실형과 벌금 200만원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지방흡입술은 다른 수술과 비교해서 특별히 고도의 위험성을 수반하는 수술이 아님에도 이씨가 의사로서 주의의무를 게을리 해 환자 사망이라는 결과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판시했다. 또 재판부는 "숨진 환자의 유족들과 피고인 이씨 사이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으로 미뤄, 이씨가 유족들의 용서를 구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을 다했다고도 판단할 수 없다"고 실형선고 이유를 밝혔다.

아울러 "이씨는 본래 마취통증과 전문의로서 지난 2006년부터 성형외과 관련 업무를 해왔지만 특별히 지방흡입술과 관련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어 정확한 검사와 시술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씨는 지난해 8월 서울 강남의 한 병원에서 마취과 전문의로 일하면서 '뱃살을 없애달라'는 환자의 요청을 받고 복부 지방흡입술을 시술했으나, 다음날 환자가 복막염을 일으켜 사망케 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뉴시스통신사: 원본 기사 보기

 

 

비단 얼굴뿐 아니라, 아름다운 몸매를 갖고 싶어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며 욕망이라 생각합니다.

 

내과적 치료만으로 가능한 질환이 있으나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듯이, 아름다운 몸매를 가꾸는 방법은 다이어트나 운동 그리고 약물적인 요법이 있으나, 또한 약물로 해결되지 않는 수술적 요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 수술적 요법 중에는 위절제술, 위를 묶는 베리아트릭 수술등이 있으나, 지방흡입이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미국이나 서구의 경우 미용 성형수술 중 가장 많이 시술되고 있는 것이 지방흡입술로서, 이제는 지방흡입이라는 수술은 다양한 음식문화와 풍요로운 생활에 기인하고, 운동부족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업무가 생활환경이 되어버린, 현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회피 할 수 없는 시술로서 운명처럼 다가오고 있습니다.

 

모든 수술은 불가피한 합병증이 있으며, 사람에 따라, 체질에 따라, 시술하는 의사에 따라, 엉뚱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습니다만, 그러나 유독 지방흡입에 대한 사고소식은 어김없이 이슈화되고, 다이어트나 운동이라는 좋은 방법이 있는데, 왜 하필 수술을 선택해야 하느냐 라는 지방흡입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라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최근에 지방흡입의 부작용들을 고발한 어느 TV 프로그램이 캡쳐되어 다시 동영상 관련 사이트인 한국 유튜브 사이트에 올려져 있는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기실 다이어트 보조식품, 다이어트 관련 약물, 다이어트 관련 기계 등등 수많은 이권들이 걸려 있는 현대의 비만 사회에서는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기도 합니다.

 

사실, 지방흡입은 그 역사가 10년도 되지 않은 수술기술로서 현재에도 매우 빠르게 발전되고 있으며, 국소마취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속도가 빠른 분야입니다. 그러나 그 대신 검증되지 않는 기계나 시술방법의 무분별한 광고와 사용으로 소비자들로서는 선택이 어려워지고 혼란이 가중시키고 있는 형편이기도 합니다.

 

현재 지방흡입관련 가장 안전하며 학술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방법은 투메슨트 국소마취를 사용하고, 마이크로 카눌라 라는 적은 구경의 카눌라를 이용하여, 의사의 손으로 미세하게 수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좀더 편하게 시술하고, 피부수축에 도움되는 기계들과 방법들이 마치 전체 지방흡입의 결과를 좌우하는 것처럼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이는 전체 지방흡입에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수단일 뿐 지방흡입의 결과를 결정하는 수단이 될 수 없음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앞으로의 많은 시술 경험으로 학술적으로 인정을 받아야 하는 기계과 기술도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tumescent_1.jpg

 

지방흡입의 아버지라 불리며 현대의 지방흡입을 이끌어 내었던 프랑스의 Fournier 박사는 어떠한 기계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시린지 주사기의 음압을 이용하여 수술하고 있습니다.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what matters is not what is in our hand, but what is in our head. It is not the instrument that is doing the operation, it is the liposuction surgeon. No instrument can replace talent and experience.(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머리에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수술을 하는 것은 기계가 아나라 지방흡을 하는 의사입니다. 어떠한 기계도 사람의 재능과 경험을 따가갈수 없습니다)"

 

이제, 최근에 기술이 개발되고 발전속도가 매우 빠른 지방흡입술은 현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거부 할 수 없는 운명적인 시술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흡입분야에서도 하루빨리 지방흡입의 기술들이 표준화 되여야 하겠고, 정식교육을 받지 못한 또한 미용성형관련 의사들의 정식 교육프로그램이 생겨 앞으로는 이처럼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비너스의원 원장 정원호]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Next
/ 10

비너스의원 | 대표: 정원호 | 전화번호: 032-322-4845 010-2353-4845 | 이메일: venus@myvenus.co.kr | KakaoID: venusclinic LineID: venus_clinic
주소: 14543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로 105 현해플라자 302호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