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Promotion
다이어트 이야기
2008.03.01 12:22

산후비만에 대하여

조회 수 7129 추천 수 0 댓글 0

비너스일러5.JPG


처녀 시절 날씬했던 A씨, 결혼후 아기를 낳으면서 늘어난 체중 때문에 고민이다. 남편은 홀쭉한데, 자기는 체중이 늘어가기만 한다.


맘 먹고 결심해보지만, 체중감량이라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비만이 만성질병이라는 관점에서 여성 비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후비만" 은 결코 소홀히 대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접하는 산후비만의 실체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접근해 보기로 하자.


우선 출산후 체중변화 양상을 언급하고자 한다.


1.출산 후 체중감소


출산 후 체중감소는 개인차가 심하지만 일반적으로 출산 직후에는 태아의 무게 이외에도 태반과 ? ?양수가 나오고, 산모의 부기가 빠지면서 체중이 약 6Kg정도 준다. 이론적으로는 아기를 낳고 나면 체중이 감량되어야만 하겠지만, 실제는 비슷하거나 약간 늘어 보이는 경우도 있다. 그 이유는 출산 직후 급격한 혈역학적 변화 아래, 산모의 몸에서 자궁, 유방, 몸의 수분(혈액과 세포액)이 약 3∼4.5kg 정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임신 중 산모는 지방의 대사가 활발해져 새로운 지방이 곧바로 체내에 축적되어 쉽게 비만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산후 체중관리 못지 않게, 임신중 적절한 체중관리는 중요할 수 밖에 없다.


2. 출산 후 살이 안 빠지는 이유


1) 임신 때의 식성이 출산 후에도 계속돼 만성적인 영양 과잉을 초래 할 뿐만 아니라 임신기간 중 ? ?체중이 너무 많이 늘면 태아가 너무 커서 정상적인 분만이 어려워지고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2) 모유를 먹이지 않는 습관 - 그런데 모유를 먹이게 되면 500-1000Kcal 정도의 열량이 추가로 소모되며 이 열량은 주로 모체의 허벅지와 엉덩이에 축적되어 있던 지방을 분해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게다가 모유를 먹이면 유두에 자극이 가면서 자궁이 수축되어 복부근력이 탄력 있게 회복된다. ?따라서 모유 수유로 산모가 임신전의 몸매를 회복하는데 큰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모유를 먹인 산모는 분유를 먹이는 산모보다 출산 6개월 후에 약 3kg, 출산 1년 후에는 약3.5kg 정도의 체중이 적게 나간다고 보고되었다.


3) 출산 후 신체활동감소 - 출산 후 임신 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산후조리이다.


산후 조리 여건이 좋은 요즈음엔 빨리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건강과 체중 조절에 모두 도움이 된다. ?그래야 출산 후 6개월이면 임신전의 체중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다음 시간에는 산후 식이요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볼까 한다.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Next
/ 16

비너스의원 | 대표: 정원호 | 전화번호: 032-322-4845 010-2353-4845 | 이메일: venus@myvenus.co.kr | KakaoID: venusclinic LineID: venus_clinic
주소: 14543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로 105 현해플라자 302호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