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Promotion
사는이야기
2019.12.21 02:13

스마트폰 ‘야간 모드’ 효과 없다

조회 수 14267 추천 수 0 댓글 0

smartphone-407108_640.jpg

 

 

한밤중 잠자리에서 스마트폰을 볼 때 ‘야간 모드’의 누르스름한 화면은 심리적인 위안을 주죠?.

 

잠을 방해하는 청색광(블루 라이트)을 걸러 숙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일듯 한데요. 영국 일간 ‘가디언’이 이런 통념을 뒤집는 최신 연구를 소개했다고 해요.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진이 내놓은 결론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청색광을 배제한 누런 빛이 숙면에 더 나쁘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청색광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고 여긴 건 시신경에 있는 감광 단백질 멜라놉신의 기능이 규명된 20여 년 전부터라고 하는데요. 멜라놉신은 수면리듬을 관장하는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물질인데 파장이 짧은 빛에 더 잘 반응한다고 하네요. 즉, 청색광에 더 예민하다는 것.

 

그러나 이번 연구를 이끈 팀 브라운 박사에 따르면 생체 시계에 영향을 주는 건 빛의 색보다 밝기. 밝기가 똑같다면 청색광이 황색광보다 더 긴장을 풀어준다는 게 연구의 결론이라는데요.

 

브라운 박사는 “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어서 한계는 있지만, 인간에게 적용해도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고 믿는다”고 말했다고 하네요.

 

스마트폰 이용자가 잠들지 못하는 이유는 화면에서 나오는 빛의 색깔 때문이 아니고, 폰이 쏟아내는 시답잖은 뉴스, 지인들의 꼴사나운 허세 탓. 거기에 탐닉하고 질투하다 보면 어느덧 새벽. 결국 진정한 ‘야간 모드’는 스마트폰의 전원을 끄는 것이라고 해요.

 

이번 연구(Cones Support Alignment to an Inconsistent World by Suppressing Mouse Circadian Responses to the Blue Colors Associated with Twilight)는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실렸다고 합니다.

 

 

[관련정보 읽어보세요]

스마트폰, 밤잠 방해 안 한다

생활 속 유해 전자파 줄이는 방법

눈 건강에 좋은 음식,눈 피로 푸는 방법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1313 사는이야기 혈압 높을수록, 뇌도 빨리 늙어 file
1312 사는이야기 오렌지, 양파, 메밀…혈전 예방에 좋은 식품 file
1311 사는이야기 장수의 비결, 사과에 차 한 잔
1310 사는이야기 딴 고기 대신 닭고기 먹으면 유방암 위험 ↓
1309 사는이야기 불볕더위, 신장병 환자에게는 치명적 file
1308 사는이야기 과식의 폐해, 운동으로 줄일 수 있어 file
1307 사는이야기 오래 앉아 있으면 만성 콩팥질환 위험 ↑ file
1306 사는이야기 사과 속 미생물종, 특히 씨앗 속에 다양
1305 사는이야기 근력 운동하면 기억력 좋아진다 file
1304 사는이야기 복부지방 많은 중년 여성, 사망률 높아 file
1303 사는이야기 관절염 환자도 운동해야 하는 이유 file
1302 사는이야기 설탕 든 음료, 발암 위험 높인다 file
1301 사는이야기 최소 혈압도 중요…80이하로 유지해야 file
1300 사는이야기 일찍 일어나는 사람, 뇌도 심장도 더 튼튼 file
1299 사는이야기 하루 300칼로리만 줄여도…건강 크게 향상
1298 사는이야기 여성들, 술 끊어야 정신 건강 좋아져 file
1297 사는이야기 대기오염, 고혈압 위험 증가시켜
1296 사는이야기 음식만 조절해선 살 쑥 안 빠져 file
1295 사는이야기 참치, 일주일에 두 번 이상 먹으면 위험 file
1294 사는이야기 뱃살 많아도 운동 하면 심장병 위험 ↓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 71 Next
/ 71

비너스의원 | 대표: 정원호 | 전화번호: 032-322-4845 010-2353-4845 | 이메일: venus@myvenus.co.kr | KakaoID: venusclinic LineID: venus_clinic
주소: 14543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로 105 현해플라자 302호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